2022. 10. 31. 20:01ㆍ경제
안녕하세요. 데오스토리의 데오입니다.
이태원 압사 사고 유족분들에게 조의를 표합니다.
연말정산이란?
원천징수하는 소득세에 그 해 납부할 세액을 계산해
덜 납부한 금액은 추가 징수, 더 납부한 금액은
환급하는 것을 말해요.

소득은 법인소득세와 개인소득세로 나뉘게 됩니다.
소득세는 수입을 기초로 과세를 산정해야 하지만
법인이나 개인사업자에 비해 개인은 신고 능력이
부족할 수도 있고 탈세 목적으로 회피하려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니
'미리 월급 줄 때마다 일정액을 떼고 준 다음 나중에
정확히 계산해서 정산하자.'라는 취지로
연말정산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매년 1월 15일에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열리는데 직장인들은 관련 증빙자료들을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홈택스에서 반드시
해당 내용을 확인해야 한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조회/발급을 보시면
연말정산간소화를 클릭

순서에 맞게 연말정산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왜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드시는 분들은 다음을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은 하지 않는다는 것은 내지 않아도 될
세금까지 낼 수도 있거나 세금을 환급받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각종 공제와 혜택을 확인 후 공제를 받아
세금을 덜 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매달 납부라는 월세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나?
☞ 있다. 총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일 경우 본인의
명의로 월세 계약 후 계약서와 계좌이체 문서 필요
일용근무자도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가?
☞ 아니다. 계약직이라도 일용근로자나
사업소득자, 기타소득자로 등록되어 있다면
연말정산 대상자가 아니다.
직장인만 연말정산이 해당되는가?
☞ 그렇다. 연말정산은 근로소득에 대한 정산이기 때문에
근로소득이 아닐 경우 대상이 되지 않는다.

연말정산은 한도가 없다?
☞ 아니다. 연간 카드 사용액이 연봉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의 15~30%의 금액에 대해
연간 300만원 한도 내 공제가 된다.
카드 소득공제는 연 소득의 25% 이상을 카드로
사용한다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연봉 5,000만원일 때
4,000 * 0.25 = 1,000만원을 카드로 사용해야
카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신용카드는 15%,
체크카드는 30%의 공제율로
카드 소비액이 신용카드이면 공제율 15% 적용
1,000 * 0.15 = 150만원,
체크카드이면 1,000 * 0.3 = 300만원이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거죠.
만약 본인이 연 소득의 25%를 소비하지 못한다.
☞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혜택(할인/적립)이 좋은
카드를 사용해서 혜택을 챙긴다.
연 소득의 25%를 소비한다.
☞ 25%의 금액을 신용카드로 사용 후 초과분을
체크카드로 사용, 25%에 해당하는 구간에는
순서 상관없이 신용카드를 체크카드보다 먼저
공제하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먼저 사용하고
그 후 체크카드, 선불카드, 현금 위주로 결제하면
용이합니다.

맞벌이 부부면 각자 연말정산을 하는가?
☞ 아니다. 급여 차이가 있는 맞벌이 부부라면
한 명의 카드에 집중하여 사용하는게 유리하다.
급여가 적을수록 공제한도가 크기 때문에
연소득이 적은 사람의 카드로 지출이 유리하다.
취업 전 사용한 신용카드도 소득공제가 되는가?
☞ 아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자에 해당,
취업 전 사용한 카드에 대해서는 받을 수 없다.
반면 휴직기간은 근로제공기간이기 때문에
소득공제에 포함된다.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인적공제와 추가공제를 활용하자.

본인, 배우자, 부모, 형제 등에 대해서
1인당 150만원을 공제해 주는 것입니다.
요건은 연간소득금액 합계액이 100만원 이하,
총 급여액 500만원 이하일 때 가능해요.

인적공제 대상자는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에서
생활해야하고, 일시 퇴거하거나 주거 형편상 따로
거주할 경우에는 동거하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어요.
형제간 연말정산 부양가족 공제는 1명만 가능해요.
중복해서 인적공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만약 부모님이 만 70세 이상이실 경우
추가로 100만원을 공제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방법과 조건을 확인하시고
성공적인 연말정산하시기 바랍니다.
데오 올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기본상식편 (2) | 2023.10.06 |
---|---|
2022년 11월 부동산 대책 (1) | 2022.11.14 |
청년들을 위한 금융상품 리스트 (1) | 2022.11.02 |
사회초년생 투자 노하우 (9) | 2022.10.05 |
사회초년생 자산관리 노하우 (0) | 2022.09.26 |